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선수단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전까지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여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단을 의미한다. 유고슬라비아는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여 1992년 동계 올림픽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등의 이름으로 참가했다. 1984년에는 사라예보에서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기도 했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된 후,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했던 국가들은 각자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설립하여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는 하계 올림픽에서 총 87개, 동계 올림픽에서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선수단 | |
---|---|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선수단 개요 | |
NOC | YUG |
NOC 명칭 | 유고슬라비아 올림픽 위원회 |
올림픽 참가 | 올림픽 |
국기 설명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국기 |
최고 순위 | 42위 |
금메달 | 26개 |
은메달 | 32개 |
동메달 | 29개 |
관련 참가국 | (세르비아) (1912, 2008–) (크로아티아) (1992–) (슬로베니아) (199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992 S–) (1992 S) (북마케도니아) (1996–) (1996–2006) (몬테네그로) (2008–) (코소보) (2016–) |
하계 올림픽 참가 | |
하계 올림픽 참가 연도 |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
동계 올림픽 참가 | |
동계 올림픽 참가 연도 |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
2. 유고슬라비아의 올림픽 참가 역사
유고슬라비아 올림픽 위원회는 1919년 자그레브에서 처음 설립되었고, 1920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았다. 이후 1927년 베오그라드로 이전하며 세르비아 올림픽 위원회를 대체하여 국가 올림픽 위원회 연합에 가입했다.
올림픽 역사에서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은 시대에 따라 세 개의 다른 국가를 대표하는 선수단을 지칭했다.
- 유고슬라비아 왕국 (1929년까지 공식 명칭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 1920년부터 1936년까지 참가했다. 유고슬라비아 선수단이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것은 1920년이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SFR Yugoslavia): 1948년부터 1992년 동계 올림픽까지 참가했다.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FR Yugoslavia):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만으로 구성된 국가로,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유고슬라비아'(YUG)라는 이름과 국가 코드로 참가했다.[1][2]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에서 여러 공화국들이 독립하면서 새로운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유엔[4]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이 해체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은 새로운 국가임을 확인했다. 이로 인해 FRY는 SFRY의 지위를 자동 승계하지 못했고, 1992년 하계 올림픽에는 독립 올림픽 참가 선수단으로만 참가할 수 있었으며, 1994년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가 금지되었다. 이후 FRY는 1996년부터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다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된다. 2003년에는 국명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하고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새로운 국가 코드(SCG)로 참가했다.[3]
2. 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8-1992)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부터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까지 이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다.1984년에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에서 1984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였다. 이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개최된 두 번째 올림픽이었으며, 동계 올림픽으로는 첫 번째였다.
'''개최한 올림픽'''
올림픽 | 개최 도시 | 날짜 | 참가국 | 참가 선수 | 종목 |
---|---|---|---|---|---|
1984년 동계 올림픽 |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 2월 8일 – 2월 19일 | 49 | 1,272 | 39 |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1948-1988)'''
경기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48년 하계 올림픽 | 90 | 0 | 2 | 0 | 2 | 24 |
1952년 하계 올림픽 | 87 | 1 | 2 | 0 | 3 | 21 |
1956년 하계 올림픽 | 35 | 0 | 3 | 0 | 3 | 26 |
1960년 하계 올림픽 | 116 | 1 | 1 | 0 | 2 | 18 |
1964년 하계 올림픽 | 75 | 2 | 1 | 2 | 5 | 19 |
1968년 하계 올림픽 | 69 | 3 | 3 | 2 | 8 | 16 |
1972년 하계 올림픽 | 126 | 2 | 1 | 2 | 5 | 20 |
1976년 하계 올림픽 | 88 | 2 | 3 | 3 | 8 | 16 |
1980년 하계 올림픽 | 164 | 2 | 3 | 4 | 9 | 14 |
1984년 하계 올림픽 | 139 | 7 | 4 | 7 | 18 | 9 |
1988년 하계 올림픽 | 155 | 3 | 4 | 5 | 12 | 16 |
합계 (1948-1988 하계) | 23 | 27 | 25 | 75 |
2. 2.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그 이후 (1992-현재)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이루던 공화국들은 각자 독립적인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설립하여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는 1992년 동계 올림픽부터 독립 국가 대표팀으로 참가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 독립하여 참가했다.유엔[4]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은 새로운 국가임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어떤 후계 국가도 SFR 유고슬라비아의 국제 법적 지위를 자동 계승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정의 영향으로, FRY 소속 선수들은 1992년 하계 올림픽에 국가 대표 자격이 아닌 독립 올림픽 참가 선수단(IOP)의 일원으로만 참가할 수 있었고, FRY는 1994년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 자체가 금지되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은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96년[1]과 2000년[2] 대회에서는 해체된 SFR 유고슬라비아와 동일한 국가 코드인 'YUG'를 사용했다. 북마케도니아는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독립 국가로 참가했다.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국명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했으며, 2004년 하계 올림픽에는 'SCG'라는 새로운 국가 코드로 참가했다.[3] 2006년 몬테네그로가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선언하면서 연방은 해체되었다. 이에 따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2008년 하계 올림픽부터 각각 별개의 독립 국가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한편, 이전 유고슬라비아의 자치주였던 코소보는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립적인 국가 대표팀으로 올림픽 무대에 처음 등장했다. 이로써 2008년 하계 올림픽을 기준으로 구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했던 6개 공화국 모두가 독립적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고, 2016년 코소보의 합류로 유고슬라비아 관련 국가들의 올림픽 참가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3. 올림픽 메달 집계
''*개최국 표시는 해당 대회 옆에 명시한다.''
''*유고슬라비아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속하는 사라예보에서 1984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 ||||||
---|---|---|---|---|---|---|
경기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1920년 하계 올림픽 | 15 | 0 | 0 | 0 | 0 | – |
1924년 하계 올림픽 | 42 | 2 | 0 | 0 | 2 | 14 |
1928년 하계 올림픽 | 34 | 1 | 1 | 3 | 5 | 21 |
1932년 하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1936년 하계 올림픽 | 93 | 0 | 1 | 0 | 1 | 25 |
1948년 하계 올림픽 | 90 | 0 | 2 | 0 | 2 | 24 |
1952년 하계 올림픽 | 87 | 1 | 2 | 0 | 3 | 21 |
1956년 하계 올림픽 | 35 | 0 | 3 | 0 | 3 | 26 |
1960년 하계 올림픽 | 116 | 1 | 1 | 0 | 2 | 18 |
1964년 하계 올림픽 | 75 | 2 | 1 | 2 | 5 | 19 |
1968년 하계 올림픽 | 69 | 3 | 3 | 2 | 8 | 16 |
1972년 하계 올림픽 | 126 | 2 | 1 | 2 | 5 | 20 |
1976년 하계 올림픽 | 88 | 2 | 3 | 3 | 8 | 16 |
1980년 하계 올림픽 | 164 | 2 | 3 | 4 | 9 | 14 |
1984년 하계 올림픽 | 139 | 7 | 4 | 7 | 18 | 9 |
1988년 하계 올림픽 | 155 | 3 | 4 | 5 | 12 | 16 |
합계 | 26 | 29 | 28 | 83 | 40 |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 ||||||
---|---|---|---|---|---|---|
올림픽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1924년 동계 올림픽 | 4 | 0 | 0 | 0 | 0 | – |
1928년 동계 올림픽 | 6 | 0 | 0 | 0 | 0 | – |
1932년 동계 올림픽 | 불참 | |||||
1936년 동계 올림픽 | 17 | 0 | 0 | 0 | 0 | – |
1948년 동계 올림픽 | 17 | 0 | 0 | 0 | 0 | – |
1952년 동계 올림픽 | 6 | 0 | 0 | 0 | 0 | – |
1956년 동계 올림픽 | 17 | 0 | 0 | 0 | 0 | – |
1960년 동계 올림픽 | 불참 | |||||
1964년 동계 올림픽 | 31 | 0 | 0 | 0 | 0 | – |
1968년 동계 올림픽 | 30 | 0 | 0 | 0 | 0 | – |
1972년 동계 올림픽 | 26 | 0 | 0 | 0 | 0 | – |
1976년 동계 올림픽 | 28 | 0 | 0 | 0 | 0 | – |
1980년 동계 올림픽 | 15 | 0 | 0 | 0 | 0 | – |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국) | 72 | 0 | 1 | 0 | 1 | 14 |
1988년 동계 올림픽 | 22 | 0 | 2 | 1 | 3 | 14 |
1992년 동계 올림픽 | 25 | 0 | 0 | 0 | 0 | – |
합계 | 0 | 3 | 1 | 4 | 41 |
유고슬라비아는 하계 올림픽에서 총 83개(금메달 26개, 은메달 29개, 동메달 28개), 동계 올림픽에서 총 4개(은메달 3개, 동메달 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18개)이며, 동계 올림픽은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3개)이다.
3. 1.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체조 | 5 | 2 | 4 | 11 |
레슬링 | 4 | 6 | 6 | 16 |
수구 | 3 | 4 | 0 | 7 |
복싱 | 3 | 2 | 6 | 11 |
핸드볼 | 3 | 1 | 1 | 5 |
카누 | 2 | 2 | 1 | 5 |
사격 | 2 | 0 | 1 | 3 |
농구 | 1 | 4 | 2 | 7 |
축구 | 1 | 3 | 1 | 5 |
조정 | 1 | 1 | 3 | 5 |
수영 | 1 | 1 | 0 | 2 |
육상 | 0 | 2 | 0 | 2 |
탁구 | 0 | 1 | 1 | 2 |
유도 | 0 | 0 | 2 | 2 |
합계 (14개 종목) | 26 | 29 | 28 | 83 |
'''독립 참가 선수단'''
1992년 하계 올림픽에 독립 참가 선수단으로 참가하여 획득한 메달은 다음과 같다.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사격 | 0 | 1 | 2 | 3 |
합계 (1개 종목) | 0 | 1 | 2 | 3 |
3. 2. 동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유고슬라비아는 동계 올림픽에서 총 4개의 메달(은메달 3개, 동메달 1개)을 획득했으며,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알파인 스키와 스키 점프이다. 종목별 메달 획득 현황은 아래와 같다.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알파인 스키 | 0 | 2 | 0 | 2 |
스키 점프 | 0 | 1 | 1 | 2 |
합계 | 0 | 3 | 1 | 4 |
4.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국가들의 올림픽 메달 집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된 후, 여러 후계 국가들이 독립적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는 1992년 동계 올림픽부터 독립 선수단으로 참가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 참가했다. 북마케도니아는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해체된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2008년 하계 올림픽부터 각각 독립 선수단으로 참가했다. 이로써 이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구성했던 6개 공화국 모두가 독립적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 과거 유고슬라비아의 자치주였던 코소보는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립 선수단으로 올림픽 무대에 데뷔했다.
아래 표는 유고슬라비아 및 그 후계 국가들의 올림픽 메달 집계 현황이다.
'''메달 집계:'''
''2024년 하계 올림픽 이후의 상태''
팀 (IOC 코드) | 하계 올림픽 | 동계 올림픽 | 총계 | ||||||||||||
---|---|---|---|---|---|---|---|---|---|---|---|---|---|---|---|
참가 횟수 | 참가 횟수 | -- | -- | -- | -- | 총 참가 횟수 | -- | -- | -- | -- | |||||
세르비아 (SRB) (1912, 2008–현재) | 6 | 9 | 8 | 12 | 29 | 4 | 0 | 0 | 0 | 0 | 10 | 9 | 8 | 12 | 29 |
유고슬라비아 (YUG) (1920–1992 동계) | 16 | 26 | 29 | 28 | 83 | 14 | 0 | 3 | 1 | 4 | 30 | 26 | 32 | 29 | 87 |
독립 참가 선수단 (IOP) (1992 하계) | 1 | 0 | 1 | 2 | 3 | 0 | 0 | 0 | 0 | 0 | 1 | 0 | 1 | 2 | 3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SCG) (1996–2006) | 3 | 2 | 4 | 3 | 9 | 3 | 0 | 0 | 0 | 0 | 6 | 2 | 4 | 3 | 9 |
크로아티아 (CRO) (1992–현재) | 9 | 16 | 15 | 17 | 48 | 9 | 4 | 6 | 1 | 11 | 18 | 20 | 21 | 18 | 59 |
슬로베니아 (SLO) (1992–현재) | 9 | 10 | 10 | 11 | 31 | 9 | 4 | 8 | 12 | 24 | 18 | 14 | 18 | 23 | 55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IH) (1992 하계–현재) | 9 | 0 | 0 | 0 | 0 | 8 | 0 | 0 | 0 | 0 | 17 | 0 | 0 | 0 | 0 |
북마케도니아 (MKD) (1996–현재) | 8 | 0 | 1 | 1 | 2 | 7 | 0 | 0 | 0 | 0 | 15 | 0 | 1 | 1 | 2 |
몬테네그로 (MNE) (2008–현재) | 5 | 0 | 1 | 0 | 1 | 4 | 0 | 0 | 0 | 0 | 9 | 0 | 1 | 0 | 1 |
코소보 (KOS) (2016–현재) | 3 | 3 | 1 | 1 | 5 | 2 | 0 | 0 | 0 | 0 | 5 | 3 | 1 | 1 | 5 |
총계 | 26 | 66 | 70 | 75 | 211 | 22 | 8 | 17 | 14 | 39 | 48 | 74 | 87 | 89 | 250 |
참조
[1]
서적
The Official Report of the Centennial Olympic Games, Volume III The Competition Results
http://library.la84.[...]
Peachtree Publishers
2017-09-09
[2]
서적
Official Report of the XXVII Olympiad, Volume Three: Results
http://library.la84.[...]
Sydney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2017-09-09
[3]
서적
Official Report of the XXVIII Olympiad, Volume Two: The Games
http://library.la84.[...]
Athens 2004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Games
2017-09-09
[4]
서적
United States Practice in International Law: 1999–20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